공연 예술(公演藝術, performing art)은 무대에서 공연되는 모든 형태의 예술을 말한다. 본질적으로는 표현 자와 관객이 같은 시간과 공간을 공유하면서, 그 자리에서 작품의 실체가 만들어져 가는 형태의 예술을 가리킨다.
1. 연극
연극(演劇) 또는 극(劇)은 배우가 무대 장치 · 조명 · 음악 등의 도움을 받아 연출자의 지도 아래 각본에 의해서 연기를 하여 관객에게 보이는 종합 예술이다.
연기의 내용은 액션 (인물에 의해서 연기되는 사건)으로서 통일되며, 액션은 몇 개의 막(幕)으로 구분되고, 막은 다시 몇 개의 장(場)으로 세분되어 하나의 극을 형성하고 있다. 구성으로서는 발단 · 상승부 · 정점 · 하강부 · 종결 (또는 파국)의 5부로 이루는 것이 일반적인데, 옛날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삼일치의 설이 취해져서 시간 · 장소 · 플롯의 통일이 필수조건으로 되어 있었다.
극은 비극 · 희극으로 대별되고, 이와는 달리 비희극(悲喜劇) · 사극(史劇) · 시극(詩劇)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1] 비극은 후에 표현형식은 변했으나 항상 영원적인 것, 즉 생사 · 자유 · 필연 · 죄 · 신 등을 테마로 하고 있다. 희극은 비극의 영원적 · 근원적인 것에 대해서 일시적 · 현세(現世)적인 것, 즉 인간의 성정(性情)이나 행위의 모순 · 약점 또는 사회의 병폐 등을 테마로 하고, 전체적으로 명랑 경쾌한 기분이 충만해지고 있다. 희극 중 단순한 것은 보드빌 (대중 연극)이나 소극(笑劇)이라 불린다.
2. 무용
춤은 몸을 통해 무언가를 표현하는 예술의 한 종류이다. 사회적 상호작용 또는 표현의 수단으로 이용되기도 하며, 영적인 의식 또는 공연 등에도 춤이 이용된다. 예술의 관점에서는 미적(美的) 정서를 리듬에 맞춰 신체로 표현하는 공연예술이다. 주로 음악 또는 박자에 맞춰 몸을 움직이는 예술적 행위이지만, 춤에 음악이 꼭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음악이 꼭 있어야 리듬에 맞추거나 리듬을 탈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춤은 또한 사람이나 동물 사이(예: 벌의 춤)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방식을 말하는 데에도 쓰이기도 한다.
리듬(rhythm)이란 생명의 규칙적인 숨결이며, 영혼의 파동(波動)이라고 할 수 있다. 리듬은 비단 시간적인 존재만도 아니고, 공간적인 존재 즉 시각적인 것도 있다. 한편, 무용은 창조의 수단이 어디까지나 인간의 신체이므로 건전한 육체를 소유하지 않으면 좋은 무용가가 될 수 없다는 것이 다른 예술과는 다르다고 할 것이다. 신체가 굳기 전인, 젊었을 때부터 시작해야 무용의 여러 가지 요구를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게 숙련이 되고 신체가 굳어져 성숙해지고 경험이 많게 되면 다양한 감정의 표현이 가능해진다. 신체를 창작의 소재(素材)로 하기 때문에 무용의 예술작품은 무용가 자신이기도 하므로, 창조자 자신이 자기 예술작품을 감상할 수가 없다. 이것이 바로 다른 부문의 예술과 다른 점이다. 그러므로 무용은 하나의 작품에 있어서 동일인의 향수(享受)와 표현, 감상과 창작은 불가능하다. 무용은 살아 있는 인간의 생명을 가진 신체로 형상화(形象化)하기 때문에, 그리고 무대에서 상연하는 공연물이므로 상연 당시에 감상하지 못하면 영원히 다시 볼 수가 없다. 요컨대, 무용은 리듬을 방법으로 하고 인간의 신체를 수단으로 하면서, 연령의 제약을 받는 순간적 향수의 무대예술이라고 할 수 있다.
3. 오페라
바로크 시대가 시작될 즈음 탄생한 오페라는 노래를 중심으로 한 극으로서, 독창, 합창, 관현악을 사용하고, 발레도 참가하는 규모가 큰 음악극이다. 독창의 부분은 보통 아름다운 서정적인 가락인 아리아(영창)와 주로 언어의 악센트로 이야기하듯이 부르는 레치타티보로 구분한다. 아리아의 계통에는 아리에타, 아리오소, 카바티나, 세레나데, 로맨스 등도 포함되어 있다. 중창은 때때로 극 중의 주요 대화의 부분으로 쓰이며, 합창은 군중이 노래한다. 때로는 극적인 박력을 강조하기도 한다. 한편으로 관현악은 전곡을 통하여 노래 반주와 장면의 분위기를 강조하며, 또는 전곡의 시초에 서곡 또는 전주곡을 연주하여 극 전체의 성격을 암시한다. 또한 극 중의 행진곡이나 발레 음악, 막간에 연주하는 간주곡 등도 관현악의 일이다.
4. 마술
마술(魔術, 영어: magic 매직[*], 문화어: 妖術 요술, 외화어:奇術 끼쥬쯔) 또는 환술(幻術, illusion)이란 상식적인 판단으로는 불가능하다고 생각되거나 기묘한 현상으로 보이는 트릭이나 환상을 자연적인 방법들을 사용해 관객들에게 공연함으로써 관객을 즐겁게 하는 공연 예술이자, 그 뒤에 숨겨진 기술을 현대에 총체적으로 일컫는 말이다. 종교적 신비 행위인 마법과 구분하기 위해 무대마술(舞臺魔術, stage magic)이라는 표현이 사용되기도 한다. 이런 마술을 행하는 사람들을 마술사(魔術師, 영어: magician 매지션[*]), 또는 환술사(幻術師, illusionist 일루셔니스트[*])라 부르며, 특정 분야를 전문으로 다루는 마술사의 경우 멘탈리스트, 탈출 아티스트 등의 다른 단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5. 음악
음악(音樂)은 소리를 재료로 하는 시간예술이다. 그러나 그 보존 및 표기는 시각적인 매체인 악보를 사용한다.
인간의 고도의 지성적, 감성적 활동의 산물인 음악은 인류의 문화 발전사에서 동서양을 막론하고 매우 일찍 인간 생활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를 잡았고 인류 문화 발전의 총체적 원동력이 되어온 동시에 인류의 역사에 지대한 영향을 끼쳐왔다. 음악은 서양음악과 전통음악 등 지역별로, 고대음악과 현대음악 등 시대별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음악이란 단어는 순수한 음악을 지칭하는 단어이므로 음악에 대응되는 단어는 대중음악이다.
오늘날 음악의 분야는 음악 작품을 창작하는 작곡 분야와 이를 재현해내는 연주 분야 그리고 악기 제작 및 음악과 관련된 연주 및 연주기획단체 및 여러 활동을 조직하는 일종의 재생산 분야 따위로 나눈다.
그러나 이러한 음악을 연구하는 학문은 음악 사학이라고 하며 이는 인문학의 영역에 속한다. 음악 사학은 음악을 생산, 재현, 재생산하는 분야와는 구별된다.
음악이 역사상 언제부터 어떻게 발생하였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그러나 약 5만 년으로부터 1만 년쯤 전에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때는 음악이 주술이나 마술 등을 위해 발달하였고 마력적이라고 생각하였다. 악기로는 뼈로 만든 피리와 딱다기 등이 있었다. 음악이 동물의 울음소리를 따라 하기 위해 생겼을지도 모른다는 가설과 춤의 동작에 맞추기 위해 생겨났다.
카테고리 없음
댓글